라즈베리파이 Wifi 통신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데이터베이스 생성
우선 라즈베리파이 터미널 창에서
-> sudo mysql을 입력한다.
그다음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서
->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DEFAULT CHARACTER SET utf8;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 Create user ID(계정) identified by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아이디를 생성한다.
-> Grant all privileges on 데이터베이스명. * to 'ID(계정)'@'localhost'identified by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계정의 권한을 설정한다.
-> Exit를 입력하여 mysql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접속
라즈베리파이 터미널 창에서
-> -mysql -u ID(계정) -p
입력 후 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 show databases;
입력하면 현재 계정에 사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볼 수 있다.
-> use 데이터베이명
입력하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 create table 테이블 명(필드명 자료형(크기))를 입력하여
테이블과 테이블 속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테이블도 마찬가지로 show table;를 입력하여 목록 확인이 가능하다.
PHP파일 생성
터미널창에 sudo 편집기/home/pi/homepage/파일명. php를 입력하면
nano 편집기로 해당 파일명을 열 수 있다.
만일 해당 파일이 없을 경우 파일명으로 새 파일을 생성하여 연다.
cmd = "GET /insert_data.php?temp="+tempC+"&humi="+humi+"\r\n"
nano 편집기는 내용 입력 후 Ctrl + x -> Shift + Y 입력으로 내용을 저장하고 엔터로 빠져나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확인
라즈베리파이 IP 주소/phpmyadmin을 통해서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후 phpmyadmin에서 테이블을 확인해 보면 아두이노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이 데이터베이스에
잘 전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