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Django를 이용하여 웹 플랫폼 만들기

    😀 프로젝트 포스팅은 개인 제작한 프로젝트를 리뷰하고 한 번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Django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직접 웹 플랫폼을 제작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플랫폼이란? 일반적으로 플랫폼이란 여러 사람이 이용하기 편리하게 만들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IT 분야에서의 플랫폼은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킬 때 기반이 되는 OS 종류나 환경을 말합니다. 🤔 장고 (django)란? 장고는 파이썬으로 작성된 오픈 소스 웹 프레임워크입니다. 웹 프레임 워크는 동적인 웹 페이지나, 웹 애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개발의 보조용으로 만들어진 프레임 워크의 일종입니다. 다양한 기능들은 사용할 수 있는 만큼, 한 스크립트 안에서 모두 구현할 수 없으므로 기능 별로 분할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합치는 방식..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 이번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기청정기 시스템 프로젝트 이후에 바로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만든 공기청정기의 센서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 단 하나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번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CO2 센서와 온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실외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전체 시스템 구조 서버 WINDOW 10 환경에서 Apache, PHP, MariaDB를 설치하여 서버로 사용 센서부와 통신하여 센서값을 받아 DB에 저장하고, 웹 페이지에 해당 값들을 표현 센서부 아두이노 우노에 보드 CO2, 미세먼지, 온습도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부로 동작 측정되는 센서값은 Wifi 모듈을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DB에 저장 제어부 서버와 TCP ..

    공기청정기와 모니터링 시스템

    😀 프로젝트 포스팅은 개인 제작한 프로젝트를 리뷰하고 한 번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이번에 진행한 프로젝트는 아두이노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를 제작하고, 라즈베리파이로 서버를 만들어서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습니다. 사용 물품 라즈베리파이 4 B 모델 라즈베리파이 LCD 패널 ESP-01 Wifi module ESP-01 Wifi module adapter 아두이노 우노 아두이노 팬 아두이노 LDC 패널 아두이노 나노보드 아두이노 릴레이 모듈 소형 필터 위 사진은 전체적인 외관 사진입니다.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 설계하였습니다. 상단부에는 팬과 필터로 구성하였으며, 하단부에는 센서들을 아두이노 나노보드를 통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 측정값을 보여주는 아두이노 LCD 패널과..

    Python 기반의 홈 IoT 구현

    1. 라즈베리파이와 DHT 11 온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를 측정하며,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출력하는 예제를 수행한다. 2. Flask를 이용하여 온습도 정보를 서버 전송한다. 센서 데이터를 서버에게 전달하는 예제를 수행한다. 3. 수신된 온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온습도 상태 표현한다. 라즈베리파이가 보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웹 서버를 구축한다. DHT 11 온습도 센서 테스트 DHT 11 온습도 센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실습 용도에 적합하다. 센서만 사용한다면 저항이 필요하고, 모듈형은 저항이 붙어있어 따로 저항이 필요 없다. 정전식 습도 센서와 써미스터를 사용하여 온습도를 측정한다. DHT 11 센서 모듈과 라즈베리파이의 연결을 위 그림과 같이 연결한다. 그런 다음 라즈베리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