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GPIO 다루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라즈베리파이의 GPIO(General Pulpose Input Output)의 사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 GPIO란? GPIO는 Port가 어떤 신호가 드나드는 지점을 말합니다. 1 또는 0에 해당하는 논리 레벨의 전기신호 (Logical Level Signal)이 출력되거나 연결된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입, 출력 포트, 통신을 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GPIO 포트는 입력이나, 출력, 또는 부가기능 (Alternavtive Function I/O)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포트로서,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트를 말합니다. 다음 그림은 라즈베리파이 40 핀 헤더에 할당된 GPIO 및 AFIO기능입니다. 녹색으로 표시된 번호는 WiringPi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하..
라즈베리파이 Wifi 통신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데이터베이스 생성 우선 라즈베리파이 터미널 창에서 -> sudo mysql을 입력한다. 그다음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서 ->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DEFAULT CHARACTER SET utf8;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 Create user ID(계정) identified by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아이디를 생성한다. -> Grant all privileges on 데이터베이스명. * to 'ID(계정)'@'localhost'identified by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계정의 권한을 설정한다. -> Exit를 입력하여 mysql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접속 라즈베리파이 터미널 창에서 -> -mysql -u ..
라즈베리파이 LED, 초음파 센서 예제
라즈베리파이에 gpio pin을 이용하여 LED와 같이 간단한 조작을 테스트한다. 1. 라즈베리파이의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를 한다 -> $ sudo apt-get update -> $ sudo apt-get upgrade 2. 오픈소스 https://github.com/WiringPi/WiringPi의 소스를 체크아웃하기 위해서 소스관리툴 git를 다운로드한다. -> $ sudo apt-get install git-core 3. wiringPI 프로젝트를 통째로 받아온다 git을 통해서 소스를 다운받습니다. -> $ git clone https://github.com/WiringPi/WiringPi.git 4. 빌드 및 설치를 진행한다 -> $ cd wiringPi -> $./build 5. 설치가 잘..
라즈베리파이 APM 설치
🤔 APM이란? 웹 서버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Apache + PHP + Mysql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Apache는 Apache 재단에서 만든 HTTP 서버이다. 많은 다양한 추가 기능도 있고, 서버 구축이 비교적 쉽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한다. MySQL은 DBMS의 종류 중 하나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PHP는 서버 측에서 사용되는 웹 페이지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APM 설치 1. Apache 설치 1. 설치를 진행하기 전에 다음처럼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해 준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여기서 sudo는 substitute user do의 약자로 라즈베리파이에서 최고권한을 가지고 파일을 인..
라즈베리파이3 SSH 연결
🤔 SSH 란?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이다. 원격 시스템에서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리눅스,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다 SSH는 안전한 원격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22번 Port를 사용한다. SSH가 사용되기 이전에는 텔넷(Telnet)이 사용되었다. Telnet 통신에는 기본적으로 23번 포트가 사용되었는데 통신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 상의 누군가가 통신을 가로챈다면 통신 내용을 모두 엿볼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보안 상의 문제로 SSH가 설계되었다. 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누군가 통신을 가로챈다고 하더라도 암호화된 텍스트로 보이게 된다..
라즈베리파이3 시스템 설정
https://serin99.tistory.com/10 라즈베리파이3 사용법 🤔라즈베리파이란? 영국 Raspberry Pi 재단에서 교육용을 목적으로 제작한 ARM 프로세서이다. Linux 운영체제를 탑재하였으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제어 가능한 H/W을 제공한다. 초소형/초저가 마이 serin99.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라즈베리파이에서 터미널 창을 열고 시스템 설정을 하기위해 "raspi-config"를 입력한다. 1. Boot Options B1 Desktop/CLI B2 Wait for Network at Boot B3 Splash Screen 1. B1 Desktop/CLI 기본 설정은 "B4. Desktop GUI, Autologin", Desktop GUI는 X-Window..
라즈베리파이, 리눅스 기본 명령어
라즈베리파이 사용시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를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1. 터미널 실행 Ctrl + Alt + T 2. cd(change directory) 디렉터리를 이동시키는 명령어 cd(경로)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cd.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 cd.. 현재보다 상위의 디렉토리로 이동 cd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cd ~ 홈 디렉토리로 이동 3. ls (list) 파일이나 디렉토리 목록을 화면에 출력해 주는 명령어 ls - l 파일들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ls -a 파일, 디렉토리의 숨겨진 내용물 까지 출력한다. ls -n 파일,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숫자로 변경한다. ls -f 파일, 디렉토리 이름 뒤에 대상이 무엇을 하는지 기호로 출력한다. ls -d 지정 경로에 있는 최상위 디렉토리의 목록..
라즈베리파이 원격 데스크톱 연결 방법(with 노트북)
라즈베리파이와 함께 노트북으로 작업을 진행할 때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 라즈베리파이(Server) -> Host PC(Client) 형식으로 라즈베리파이를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1.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GUI 원격 접속 라즈베리파이 화면에서 Ctrl+Alt+T 단축키를 통해 터미널 창을 연 다음으로 "raspi-config"를 입력하여 vnc 서버 기능을 enable 한다. 2. 클라이언트 VNC Viewer 다운로드 : https://www.realvnc.com/en/connect/download/viewer/ Download VNC Viewer | VNC® Connect Control VNC® enabled computers with V..